봄철이 되면, 가장 사랑받는 산나물 중에 하나입니다. 주로 야생에서 채취하는 것이 많아서 자연산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재배하는 곳이 많아져서 마트에 가면 남쪽지방의 두릅이 진열되어 있는 것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강원도에도 개두릅이라고 하는 엄나무순과 더불어 두릅이 도처에 흔하고, 봄철에 새 순을 따서 자주 식탁에 올리곤 합니다. 그렇다면 두릅나무의 특징과 효능은 어떠하며, 먹는법과 보관법은 어떠할까요? 신뢰도를 위해서 논문만은 근거로 아래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두릅의 특징
두릅나무(Aralic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인 약용식물입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온대지역에 분포, 한국에는 해발 1500미터까지의 산간에 군락으로 분포합니다.
예로부터 구황식품이기도 했던 두릅나무의 햇순은 탄닌과 사포닌이 함유되어 떫은 맛이 나지만, 씁슬하고 진한 향을 사람들이 많이 찾곤 합니다.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두릅나무에 포함된 약효성분은 triterpenoid saponin, oleanolic acid, sitosterol, choline, hederagenin, congmuyanosides A, C, D, echinocystic acid, alkalo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methyl eicosanoate, 3,4-dihydroxybenzoic acid, hexacosol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두릅순에는 ascorbic acid, retinol, β-carotene와 같은 비타민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K, Ca, P, Mg 등 무기질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릅의 효능
두릅은 민간과 한방에서 당뇨병, 신장병, 급만성 간염, 위장질환 개선과 강장제로 두루 이용되어 왔습니다. 특히 수피는 당뇨병에, 뿌리 껍질은 자양강장제로, 잎은 위를 튼튼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또 두릅나무에는 특별한 독성도 없는 것으로 연구 보고 되었습니다. 논문을 통해 정리한 구체적인 효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염 및 위궤양 개선
두릅나무는 항염 및 소염 작용이 뛰어나 위염 및 위궤양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됩니다.
간 건강 개선
두릅의 아세트산 에틸 분획 물은 우수한 산화방지 능력과 간세포 보호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각종 간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이 두릅에 있는 것으로 연구됩니다.
당뇨와 콜레스테롤 개선
논문들의 실험 결과 두릅에 많이 포함된 사포닌을 통해 당뇨와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개선된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항산화 작용
논문 중 두릅에서 분리된 flavonoid 배당체 화합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두릅은 노화방지와 면역력 증진이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됩니다. 다만 특이사항은 두릅의 새 순 보다 피어난 잎에서 더 많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릅 먹는법 및 주의점
나무 혹은 수피(껍질)
차로 드실 때에는 50g 정도 잘 씻어서 2리터 물로 끓이되, 1리터 정도로 30분~1시간 충분히 조린 후 드시면 됩니다.
또 엄나무처럼 백숙이나 수육에 넣어서 드셔도 효능이 좋습니다.
두릅순
끓는 물에 소금을 한소끔 넣고, 1-2분 정도 데친 후에 숙회처럼 초고추장에 찍어 드시면 됩니다.
육고기와 함께 쌈으로 드셔도 느끼한 맛을 잡아주어 맛이 배가 됩니다.
데친 두릅순을 칼로 다져서 고추장 비빔밥에 넣어서 드셔도 맛있습니다.
두릅장아찌는 마시마육수 1, 양조간장 1, 식초 0.5, 맛술 0.3, 설탕 0.3, 매실액기스0.3 을 끓여서 장아찌 소스를 만든 후에 육회처럼 데친 두릅을 물기를 잘 짠 후 소스를 섞어서 만드시면 오래 두릅의 향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논문을 통해서 염장하는 법이 연구되었는데, 두릅을 잘 씻어서 물기를 제거한 후 10% 소금물로 염장해서, 4℃ 냉장고에 저장해 놓으면 영양가 손실 없이 두릅을 가장 오래 보관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일단, 두릅나무와 두릅순에는 잔가시가 많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취급하실 때 꼭 손에 찔리는 것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가시가 찔린 경우에는 꼭 가시를 빼어내시고, 소독하시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최근에는 가시 없는 두릅도 재배를 시작했지만, 아직 대부분은 가시가 있는 두릅인 경우가 많습니다.
두릅이 좋은 약용식물이지만, 과하게 드실 경우 탈이 나실 수 있으니, 하루에 너무 많은 양을 드시는 것 보다는 잘 저장해서 조금씩 자주 드시는 것을 권합니다.
두릅 가격과 구입 방법
슬라이스 혹은 분절된 나무는 가격 형성이 되지 않고 있고, 사실 현지에 가면 전지한 두릅 나무의 경우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두릅 순의 경우 엄나무순보다는 조금 낮은 가격이지만 1kg당 28000원에서 36000원 사이에 시세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땅두릅(독활)의 경우 다른 품종이고, 참두릅으로 검색을 하셔야 일단 두릅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두릅을 강원도 현지에서 직거래 하시는 경우에는 키로당 20000원 정도에도 구입이 가능합니다. 자연산 두릅을 평창 오르목장이라는 곳에서도 직거래 판매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온라인 마켓 혹은 일반 마트에서도 쉽게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해발고도가 높은 평창지역은 비교적 늦은 5월 초 중순에 두릅이 피어납니다. 남쪽지방 두릅부터 강원도 두릅까지 천천히 한 달 동안 두릅을 즐기실 수도 있으니 두릅 좋아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나물에 대해서도 논문을 근거로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글들도 참조해 주세요.
[논문근거] 엄나무 엄나무순 효능 먹는법 부작용 가격 구입방법
4월 봄이 시작되면 전국에 자생하는 두릅과 엄나무순(개두릅)을 채취하고, 삼겹살과 같이 쌈을 곁들이거나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반찬으로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
sandstars.tistory.com
[논문근거] 다래순 다래순나물 효능 채취시기 먹는법
다래라는 말을 종종 들어봅니다. 작은 키위같은 토종다래 열매를 마트에서 보거나, 건조된 묵나물 중에 다래순나물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다래나무에서 채취한 다래나무수액도 있습니
sandstars.tistory.com
[논문 근거] 오가피순 오가피 나무 오가피나물 효능 먹는법
오가피는 일반 오가피와 가시오가피가 있습니다. 둘 다 순을 따서 주로 나물로 약용하며, 나무를 약재로 끓여서 마시기도 합니다. 강원도에서도 자생하는 오갈피나무가 많이 있습니다. 강원도
sandstars.tistory.com
[논문근거] 강원도 산마늘(명이나물) 종류 효능 채취시기 구입방법
산마늘 즉, 명이나물은 강원도에 자생하는 백합과 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잎이 부드럽고, 특유의 마늘과 양파향이 강해서 고기 또는 장어 등의 기름기 있는 음식들과 많이 조합을 이루어 봄철
sandstars.tistory.com
참고문헌
장세영, 김선화, 성나혜, 윤경영, 우상철, 정용진. (2012). 염장조건에 따른 엄나무와 두릅 순의 품질특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19(2), 193-200.
이기호 ( Gi Ho Lee ),정지욱 ( Ji Wook Jung ),and 안은미 ( Eun MI Ahn ). "두릅 순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大韓本草學會誌 24.4 (2009): 137-142.
차재영(Jae Young Cha),안희영(Hee Young Ahn),엄경은(Kyung Eun Eom),박보경(Bo Kyung Park),전방실(Bang Sil Jun),and 조영수(Young Su Cho). "두릅 순 및 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생명과학회지 19.5 (2009): 652-658.
김영희(Young-Hee Kim),and 임정교(Jung-Gyo Im). "두릅추출물이 정상쥐 및 당뇨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4 (1999): 912-916.
권봉석(Bong Seok Kwon),박선경(Seon Kyeong Park),김종민(Jong Min Kim),강진용(Jin Yong Kang),박상현(Sang Hyun Park),강정은(Jeong Eun Kang),이창준(Chang Jun Lee),박수빈(Su Bin Park),유슬기(Seul Ki Yoo),이욱(Uk Lee),and 허호진(Ho Jin Heo). "두릅 아세트산 에틸 분획물의 산화방지 효과 및 알코올에 대한 간세포 보호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50.2 (2018): 216-224.
지금까지 두릅과 두릅순 등의 효능, 먹는법, 가격,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두릅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만한 이유가 충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원도는 5월까지 두릅이 제철입니다. 늦기 전에 두릅을 통해 각종 효능과 효과를 직접 확인하는 것은 어떠신지요?